[연구실 셋업] NAS 구축 후기
#1. Introduction
• 나는 대학원생때부터 한달에 한번씩 정기적으로 외장하드를 이용해서 컴퓨터를 백업하여왔었다..! (파워J가 아니더라도 대부분의 연구자들은 본인만의 백업이 있는 듯하다)
• 그러나 종종 까먹는 일이 발생하고.. (특히나 최근들어 너무 바빠져서 백업에도 신경을 못 쓰기 시작하였다) 가장 큰 문제는 비정기적으로 (체계적이지 않은 것) 한다는 점..!
• 그러던 와중에 사고가 나서 컴퓨터가 꺼져서 - 부랴부랴 인근 데이터 복구업체에 방문하였고, 14만원의 수리비를 지불하고 컴퓨터 쿨러 교체 및 내부 청소를 받았다. @_@
• 다행히 모든데이터가 D에 들어잇어서 그대로 저장이 되어있어서 문제는 없었지만, 백업 전으로 돌아간다고 생각하니 아찔하였다 ㅎㅎ...
이 참에 NAS를 구매하기로 결정!
#2. NAS (Network Attached Storage) 란?
혹시 NAS가 익숙하지 않은 분들을 위해 간단히 정리해본다 :)
- 쉽게 말해 네트워크를 통해 접근할 수 있는 개인용 클라우드 저장소이다.
- 여러 기기에서 동시에 파일 접근, 공유, 백업 가능하다는 것이 장점.
- PC, 스마트폰, 태블릿 등 여러 장비와 연동이 편리
#3. 내가 구입한 모델: Synology NAS DS223 - 2베이
• NAS 제조사로는 Synology가 비교적 안정적이고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깔끔하다는 평이 많았다.
• 나는 Synology DS223 모델을 선택했다. 이 모델은 2베이 제품으로, 하드디스크 두 개를 장착할 수 있다.
내가 선택한 이유는 아래와 같이 몇 가지였는데,
- 가정용 및 연구실 용도로 충분한 성능
- Synology의 직관적인 DSM 운영체제
- 초보자도 쉽게 초기 셋업 가능
- 적당한 가격대
총 가격은 81,6000원..! 나름 거금을 들여서 셋업하였다.
#4. 설치 후기
• 생각보다 설치는 간단하다.
• 먼저 NAS 본체에 하드디스크 두 개를 장착한 뒤, 랜선을 연구실 공유기에 연결하고 전원
• 초기 셋업은 Synology의 웹 기반 설치 마법사를 따라가면 금방 끝난다.
두 줄 요약
Step 1. NAS와 공유기 연결 후 find.synology.com 접속
Step 2. Synology Assistant에서 표시된 NAS의 IP 주소 > http://192.168.0.13:5000S
이로써 NAS 구축 일기 끝!
조만간 워크스테이션 구축 후기도 작성해볼 예정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