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항을 떠나기 전 마지막 단체 행사였다. 연구실 동료 박사 디펜스가 무사히 끝났다. 교수님 분들의 코멘트를 정리해보았다. 일반적인 내용 위주로 정리했고, 동일한 질문을 내 연구에도 던져보도록 하자. # 1. - 가장 핵심적인 슬라이드와 그것에 대한 결론이 무엇인지? - 사람들의 직관이 있었을 텐데 "연구를 통해서 밝혀낸" 새로운 결과가 무엇인지? - 연구를 통해 알게 된 것이 무엇인지? - 데이터 생성 및 활용 단계에 대해서 어떻게 검증하였는지? - 본인이 제시한 방법론의 유용성 & 차별성을 주장할 수 있는지? # 2. - 데이터 출처에 대한 최신화가 되었으면 더 좋았을 듯함. - 데이터 활용에 대하여 일방향이 아닌 상호작용을 통한 가치 창출로 이어지면 후속 연구 가치가 높아보임. # 3. - 연구 결과..
5년간의 여정 끝에 크리스마스 이틀 전 디펜스를 마무리하였다. 크리스마스날 여유롭게 디펜스와 함께 지난 날을 잠시 회고해본다. [1] 2020년: 박사 학위 프로포절 이후 1년. 박사 학위 프로포절을 했던 시점을 돌아보니 2019년도 겨울이었다. 꼭 2년이 지났고, 그 사이에 운이 좋았던 것인지 주제가 갈아엎어지지 않았다. 프로포절 당시 제안했던 연구 아이디어는 입학 당시에 나에게 주어졌었던 미션이었으니, 시작부터 마무리하는데에까지 꽉찬 5년이 걸린셈이다. 포기하지 않고 그 주제를 끝맺음 지으려는 마음을 유지할 수 있어서 가능했던 것 같다. 프로포절 당시에만 해도 정말 그럴듯한 제안 정도로만 제안하였던 연구 주제였다. 교수님분들은 구성과 논리 전개에 대해서 밖에 코멘트를 주실 수 없는 상황이었다. 내용에..
- Total
- Today
- Yesterday
- 포닥 이후 진로
- 공학 박사
- 공학박사 일기장
- Jinsustory
- 한동일
- 공학박사
- 박사 일기
- 포닥 일기
- 연구 일기
- 행잉플랜트
- 포닥 2년차
- 박사 후 연구원
- 포닥 임용
- 박사일기
- 독후감
- 미국 포닥
- 라틴어수업
- 식물일기
- 공학 박사 일기장
- 논문 일기
- 국내 포닥
- 주간리포트
- 틸란드시아
- 해외포닥
- 대학원생
- 라틴어 수업
- 해외 포닥
- 미국 박사 후 연구원
- LCA 분석
- 박사과정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