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공학 박사 일기장] 인생 여행 이야기

프로필사진
  • 글쓰기
  • 관리
  • 태그
  • 방명록
  • RSS

[공학 박사 일기장] 인생 여행 이야기

검색하기 폼
  • All About (236)
    • 독후감 (48)
    • AI STUDY (18)
      • Matlab (8)
      • Python (8)
      • 기타 (2)
    • 1부: 대학원 생활 (31)
    • 2부: 해외 포닥 준비 과정 (15)
      • 포닥 준비 과정 (11)
      • 미국 출국 준비 (4)
    • 3부: 포닥 연구 일기 (84)
      • 미국 생활 적응기 (15)
      • 포닥 일기 (26)
      • 연구자 마음가짐 (5)
      • 논문 고찰 (6)
      • 논문 히스토리 (27)
      • 포닥 마무리 (2)
    • 4부: 임용 준비 (14)
    • 5부: 교수 일기 (9)
      • 조교수 일기 (24.09 ~) (9)
    • 전공 공부 (17)
      • LCA (전 과정 평가) (10)
      • CCUS (탄소포집 활용 및 저장) (4)
      • SP (확률적 계획법) (2)
      • TECH NEWS (1)
  • 방명록

국내 포닥 (10)
열한번째 논문 1차 심사 결과 - 리비전 (24.04.28)

[#1] 논문 히스토리 • 내가 한국에서 박사 과정 학생으로 머무르는 동안 진행했었던 연구에 대한 결과이다. 짧게나마 잠시 박사 과정 때를 회고해본다 :D • 나의 원래 박사과정 PI는 내가 박사 과정 4년차가 되던 시점 정년 은퇴 이후, 학교를 떠나셨고 (A 교수님이라고 하자), 학적상으로 나는 새로운 젊은 PI (B 교수님)밑에서 지도를 받는 학생이 되었다. • 우연한 기회로 박사과정 동안 B 교수님 학생들과 친해지면서, 공동으로 진행할 수 있는 연구를 찾을 수 있었고, 그 스노우 볼이 이렇게 커질 것이라고는 예상하지 못했다..! (예상보다 너무 오래걸렸다)나는 모델링과 시뮬레이션을 맡았고, 반대편에 박사 과정 학생은 실험과 분석을 맡아서 공동 1저자로 시작된 연구였는데, 실험 친구의 박사 과정 졸..

3부: 포닥 연구 일기/논문 히스토리 2024. 4. 29. 13:09
아홉 번째 논문 게재 승인 (23.06.11)

국내 포닥 시절의 연구 결과가 나왔다. 올해 초에 투고했던 논문이고, 한 번의 리비전 이후 게재 승인 되었다. 요즘 유행(?)한다는 인공지능을 활용한 공정자동화 / 디지털 트윈 구축을 주제로 논문을 썼다. "도메인 지식의 활용 + 실제 조업 데이터의 활용 + 물리 기반 모델을 통한 부족한 데이터 보충" 이 세가지를 적절히 접목시켜서 논문을 작성했고, 굉장히 쉽게(?) 게재 승인 되었다. 도메인 지식 활용과 물리 기반 모델 위주의 연구를 수행하였었는데, 인공 지능을 활용하면 보다 산업계에서 실제로 적용할 수 있는 분야가 넓어질 것 같다. 아홉 번째 논문 리비전 도착 (23.05.03) - https://jinsustory.tistory.com/412 아홉 번째 논문 리비전 도착 (23.05.03) 1. 개..

3부: 포닥 연구 일기/논문 히스토리 2023. 6. 12. 04:59
아홉 번째 논문 리비전 도착 (23.05.03)

1. 개요 국내 포닥 시절의 연구 중에서 가장 최근에 게재 승인된 일곱번째 논문의 후속작이다. 링크: https://jinsustory.tistory.com/399 일곱번째 논문 게재 승인 (23.03.24) 거의 일년간 고생했던 연구가 드디어 게재 승인 되었다. [논문 일기] 일곱번째 논문 리비전 이후 재심사 (23.02.18) - https://jinsustory.tistory.com/385 [논문 일기] 일곱번째 논문 리비전 도착 (23.02.01) - http jinsustory.tistory.com 어쩌다보니.. 일곱번째 논문이 엄청 리젝을 많이 당하고 오래 끌리면서, 웃프게도 후속결과는 굉장히 금방 나온 것 같이 보였다. 다행인건 일곱번째 논문이 대표작으로써 먼저 출판되고 이 논문이 리비전을 ..

3부: 포닥 연구 일기/논문 히스토리 2023. 5. 4. 05:11
[연구 일기] 열매는 언제 수확해야 하는가? (2)

23.04.18 오늘 오전, 한 시간 가량의 PI와 미팅이 잘 마무리 되었다. 약 한달 전에 새로운 토픽을 소개받았었고, 첫 번째 연구 주제의 마지막 파트 구현에 대한 숙제였다. 확률 최적화 (링크): Introduction - Stochastic Programming https://jinsustory.tistory.com/403 Introduction - Stochastic Programming 미국 해외 포닥 7개월차에 접어들었고, 새로운 분야로 확장을 시도 중이다. 교수님에게 한 가지 원서를 받았는데, 오늘은 간략하게 책과 목차 구성에 대해 소개해본다. Birge, John R., and Francois Louve jinsustory.tistory.com 한 달간 여러 번의 피드백 끝에 - 서로 동..

3부: 포닥 연구 일기/포닥 일기 2023. 4. 19. 00:55
[연구 일기] 좋은 PI가 갖추고 있는 몇 가지 특징

23.04.06 0. 서론 두달만에 그룹 미팅에서 나의 발표 차례가 왔었고, 35~40분 15슬라이드 가량 분량의 발표를 했다. 매주 진행되는 교수님과의 개별 미팅에서는 내가 얼마만큼 연구가 진척되었는지 잘 체감이 되지 않았던 것 같았는데, 두세달 전 그룹 미팅에서 내가 발표했던 자료를 되돌아 보니, 그래도 뭔가 진도 나간게 있구나 싶었다. 포닥 신분으로써, 난 현재 PI에 대해 매우 만족한다. 행운이다. 오늘 그룹/개인 미팅자리에서도 여러 귀중한 코멘트들을 받았는데, 그간의 경험들을 정리하는 차원에서 포스팅을 남긴다. 좋은 PI가 갖추고 있는 특징을 몇 가지 정리 해보았다. 부제: 내 PI 관찰일기 1. 연구 관련 1a. 수식으로써 표현과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하다. • 전공 특성상 수식을 굉장히 많이 사..

3부: 포닥 연구 일기/포닥 일기 2023. 4. 7. 02:37
좋은 질문과 리더의 역할 (퍼온 글)

KT 부사장 신수정 박사님의 LINKED-IN 포스팅을 보고 좋은 글귀다 싶어서 가져와 보았다. (인용 - 이탤릭 본명조) 링크: https://www.linkedin.com/in/soojung-shin-30398b75/recent-activity/shares/ "질문만 잘해도 리더역할로 충분하다--- 1. 벤처를 공동창업하여 수년간 경영하고 있는 한 분이 질문한다. "초기에는 제가 영업, 마케팅, 기술 혼자 다했습니다. 이제 각 조직에 저보다 잘 하는 분들이 리더로 책임을 맡고 있습니다. 이에 제가 가르치거나 도울것이 별로 없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제가 무엇을 해야할지 고민입니다 " 2. 이에 나는 답했다. "전문성을 돕는것만이 리더의 역할은 아니죠. 전문성이 더 높지 않아도 각 책임자의 한계를 스트레..

3부: 포닥 연구 일기/연구자 마음가짐 2022. 12. 20. 03:25
[포닥 1년차] 22년 한해 연말 결산 (22.12.17)

22년도 2월에 박사 학위를 받고, 올 한 해 꽤 많은 일들이 있었던 것 같다. 작년 12월 말에 마지막 박사 과정의 일기를 썼는데, 그 이후 일어난 1년 동안의 일들을 회고해본다. [박사 일기: 최종 편] 박사 학위 심사 일기 링크: https://jinsustory.tistory.com/236 [박사 일기: 최종편] 박사 학위 심사 (21.12.23) 5년간의 여정 끝에 크리스마스 이틀 전 디펜스를 마무리하였다. 크리스마스날 여유롭게 디펜스와 함께 지난 날을 잠시 회고해본다. [1] 2020년: 박사 학위 프로포절 이후 1년. 박사 학위 프로포절 jinsustory.tistory.com 올해는 크게 네 가지 카테고리로 기간이 구분되었던 것 같다. 박사 학위 전 (2개월) / 국내 박사 후 연구원 (4..

4부: 임용 준비 2022. 12. 18. 06:39
아홉 번째 논문 - 영문 교정 (22.11.05)

미국 포닥 오기 전 4개월 정도 포닥으로 지냈었는데, 그 때 수행하였던 마지막 연구를 드디어 투고하기 직전까지 왔다. 지난 주에 교정본을 받았고, 아래와 같은 몇 가지 영어 표현 (비슷한 실수를 반복한다.) 에 대한 지적 사항을 기록해 둔다. 교정 1. First-principles model: Your initial model that uses phenomenology (I think) is using them as the first principles, i.e., the most basic building blocks of knowledge. Therefore, it is a model that use first principleS. Used as a compound adjective, in whic..

3부: 포닥 연구 일기/논문 히스토리 2022. 11. 7. 10:53
이전 1 2 다음
이전 다음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TAG
  • 라틴어수업
  • 국내 포닥
  • 해외 포닥
  • 포닥 이후 진로
  • 포닥 2년차
  • 박사과정
  • 틸란드시아
  • 공학박사
  • 연구 일기
  • 한동일
  • 공대 조교수
  • 미국 포닥
  • 공학박사 일기장
  • 독후감
  • 해외포닥
  • 논문 일기
  • 포닥 임용
  • LCA 분석
  • 식물일기
  • 공학 박사 일기장
  • 공학 박사
  • 주간리포트
  • 박사 일기
  • 포닥 일기
  • Jinsustory
  • 대학원생
  • 미국 박사 후 연구원
  • 박사일기
  • 박사 후 연구원
  • 라틴어 수업
more
«   2025/05   »
일 월 화 수 목 금 토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

Blog is powered by Tistory / Designed by Tistory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