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 번째 논문에 대해 심사 결과가 나왔다. 8월 31일이 메이저 리비전을 받았었고, 별 심각한 코멘트가 없어서 9월 8일에 리비전 수정을 제출하였었다. 그 뒤로 1주일 뒤인 9월 15일이 현재까지의 최신 status였고, 5주가 지난 현재까지 바뀐 기록이 없었다! 최근에 몇 번의 리뷰를 해본 결과.. 이것은 100% 리뷰가 끝난 것이라고 확신할 수 있었다. (개인적으로 어제 날짜로 피어리뷰에 대해 추천하는 일기를 썼는데, 한 번 더 내 선택에 대해서? 맞았다고 생각한다. Give and Take) 그래서 에디터에게 메일을 보냈다. 그리고 예상했던 답변을 받을 수 있었다. 결과는 "minor revision" 한 개의 추가적인 discussion 추가 요청이 왔고, 이를 잘 수행하면 아마 바로 accept..
리뷰요청에 응한뒤로 꽤 빠른 시일내에 다시 feedback을 제출하였다. 남들은 어떻게 코멘트 했는지 볼 수 있었고, 또 에디터의 최종 의견은 어떠한지도 볼 수 있었다. 한번 해보고 느낀 것은 (1) 내 논문을 비전문가가 심사하지 않을 수 있다는 점 (2) 나만큼 자세히 알지못하기 때문에, 논리와 구성 부분이 그만큼 더 중요할 수 있다는 것 내가 리뷰를 승낙했던 이유는, 완전히 내 주제는 아니지만 그래도 읽고 어느정도는 이해할 수 있는 수준이라고 판단하였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논문을 쓴 저자만큼 그 내용에 대해 전문적으로 알지 못한다. 반대로, 내가 투고한 논문 역시 그럴 수 있다는 점을 인지하고, 그러한 관점에서 원고를 작성해야 할 것이다. 두번째로 느낀것 역시 첫번째의 연장선인데, 가장 먼..
박사 과정 학생인 나에게, 피어 리뷰 요청이 왔다. 교수님에게 온 피어 리뷰 요청을 종종 박사과정 학생들도 하는 경우가 있다. 나에게 직접 요청이 온 경우는 처음이였다. 내가 요청받은 저널은 IF 5점대의 엘제비어 계열 저널로서, 약 절반정도의 acceptance ratio를 가진 저널이었다. 피어리뷰는 트레이닝 차원에서 학위의 일부 과정으로써 경험해보는 것은 굉장히 중요할 뿐만 아니라, 투고자가 아닌 심사자의 입장에서 리뷰 프로세스의 전체를 이해하는게 큰 도움이 될 수 있다. 내 리뷰의 히스토리가 이력으로도 관리된 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내가 지난달 29일에 첫 번재 리뷰를 승낙했다는 것을 알 수가 있었다. 그 외에도 내가 리뷰 심사 수락/거절, 그리고 내가 퍼블리케이션했던 논문에 대한 평가들이..
- Total
- Today
- Yesterday
- 공학박사 일기장
- 해외포닥
- 미국 박사 후 연구원
- 국내 포닥
- 논문 일기
- 독후감
- 박사 후 연구원
- 박사 일기
- 라틴어수업
- 공학 박사
- 식물일기
- 주간리포트
- Jinsustory
- 공학 박사 일기장
- 공학박사
- 포닥 2년차
- 틸란드시아
- 포닥 임용
- 연구 일기
- 박사과정
- 박사일기
- LCA 분석
- 해외 포닥
- 미국 포닥
- 라틴어 수업
- 포닥 일기
- 대학원생
- 포닥 이후 진로
- 행잉플랜트
- 한동일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