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포닥시점부터는 내가 원하는 한 가지 분야의 연구만 할 수 없기 때문에, 분야 확장성 측면에서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는 개념을 적어보았다.

특히, 새로운 분야에서 논문 작성이 막막할 때 아래와 같은 workflow를 따르면 좋을 듯하다.


1. 비슷한 여러 종류의 paper work을 모은다. 잘 써진 논문으로 5편을 고른다.

2. 해당 페이퍼들에서 고려한 요소들을 모두 고려한다.
 - 모든 페이퍼에 공통적으로 있는 요소들은 필수적으로 포함
 - 일부 페이퍼에만 고려했던 요소들 역시 "첫 페이퍼"일 경우에는 포함시킨다.

위와 같이 하지 않으면, 내가 전문가 그룹인지 아닌지 외부 관점에서 보았을 때 의심의 눈초리를 피할 수 없게 된다.
특히, 중요한 요소가 누락되어있는 경우와 덜 중요한 것이 크게 부각된 경우 부정적으로 평가당할 가능성이 높다.

첫 페이퍼는 후배들을 위해 기틀을 닦아놓는다고 생각하고, 정석대로 쓴다. 부피가 조금 커도 상관없고 supporting을 이용해서 필요한 모든 구성 요소들을 채운다.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