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dnEsMj/btspmV7u3uL/klK1tv0Kbu90PjX4vfgMrk/img.jpg)
1. 이사의 흔적들 • 22년도 9월 중순에 미국에 처음 오고나서, 첫 번째 집에서 6개월 짧은 term 계약을 하였었고, 계약 연장 없이 이사를 진행했다. • 두 번재 집에서는 5개월 짧은 term으로 sub-lease take over를 통해서 비교적 저렴하고 학교 근처에서 생활을 이어나갈 수 있었다. 2. 룸메를 만나고 나서 좋아진 것들• 덕분에 통학에 쓰는 시간과 에너지를 세이브했다. 자전거 타고 5~6분 이내로 오피스에 도착할 정도로 가깝다. • 그리고 생활의 질 (부제: 먹는 것들)이 좋아졌다. • 요리도 많이 해먹고, 장도 같이 보고 나름 같이 살면서 여려가지 장점(?)을 누렸던 것 같다. • 확실한 장점은 월세 1/N 외에도 여러가지 생활에서 공유할 수 있는 것을 함께 부담하는 것이다. •..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bTSHJO/btsmRqCPS1P/Gw6KvGONpTLOnR9kHNrkIk/img.jpg)
미국에서의 첫 번째 논문 투고 과정이 생각보다 녹록치 않다. 1. 내부 리비전 • 지난달 초 내 측에서 작성한 원고를 지도 교수님에게 전달드리면서 내부 리비전을 시작하였고, • 네 번의 수정 끝에 교수님과 투고에 대한 합의가 이루어졌다. 2. 이륙 허가 • 그 다음 단계는 외부의 이해관계자들의 검토를 받아야 한다. • 본 연구는 인더스트리의 펀드를 받아 진행된 결과였기 때문에, 스폰서 기관의 최종적인 동의가 필요했다. • 오늘 (7월 8일 토요일 - 미국인들도 주말에 일을 굉장히 열심히한다.) 그에 대한 회신을 받을 수 있었다. 3. 도돌이표로 돌아온 논문 • 결과적으로 '반려' 당하였다. • 장문의 메일로 돌아온 답장으로부터 대화가 시작되었고, 팀원들, 그리고 교수님까지 포함하여 주말인데도 불구하고 성..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u0lyQ/btslMp6HDH4/usHiFGPKw3netoqOOc1Rr0/img.jpg)
22년 9월부터 미국에서 포닥생활을 이어가다가, 9개월 정도 지난 6월 휴가를 냈다. 여러 가지 숙제(?)를 가지고 한국에 한번은 들러야겠다 싶던 시점이었다. 순식간에 지나간 2주 일과를 정리해본다. 1. 짧았지만 가족들과 보낸 시간 • 하필 내 휴가기간이 친동생이 독일에 가는 일정과 거의 겹치는 바람에 반나절 정도 얼굴만 보고 부모님들과 잠깐 식사를 같이했었다. • 그 마저도 너무 여기저기 싸돌아다니는 바람에 많은 시간을 보내지 못했던 듯 하다. (제일 아쉬웠던 점) • 군대에 있을때보다도 더 긴 시간을 부모님과 떨어져 지냈던 것 같은데, 시간이 참 빨리 갔던 것 같다. • 마지막 복귀하는 날은 아버지가 출장을 가시는 바람에 일찍 작별 인사를 했다. 2. 연구실 선후배들 • 내가 여기까지 올 수 있게 ..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bOGiKN/btsjO4iAClr/3XGZu18kjzbP2KEcOX1aj0/img.jpg)
1. 개요 • 미국에서의 첫번째 연구 결과에 대한 논문 투고 준비 과정이다. :) • 초고를 작성한 것이 벌써 거의 3주전이었고 어느새 6월 중순이 되었다. • 늘 내가 예상한것보다 시간이 더 걸린다 (2주 정도는 임용 준비에 신경을 많이 썼어서 진도가 살짝 쳐졌었다.). [ 열번째 논문 투고 준비 (23.05.21) ] 링크: https://jinsustory.tistory.com/416 열번째 논문 투고 준비 (23.05.21) 미국에서의 첫번째 연구 결과물에 대해서 투고할 준비가 완료되었다. 올해 3월에 PI와의 미팅이 잘 끝나고, 눈에 보이는 결과물 초안을 만들었었다. 열매는 언제 수확해야 하는가? (1) 링크: https:/ jinsustory.tistory.com 2. 이모저모 • 교수님에게 ..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OVAxZ/btsjwqrYjNh/jWyDMXSIjBqb1cc5OStXp0/img.png)
국내 포닥 시절의 연구 결과가 나왔다. 올해 초에 투고했던 논문이고, 한 번의 리비전 이후 게재 승인 되었다. 요즘 유행(?)한다는 인공지능을 활용한 공정자동화 / 디지털 트윈 구축을 주제로 논문을 썼다. "도메인 지식의 활용 + 실제 조업 데이터의 활용 + 물리 기반 모델을 통한 부족한 데이터 보충" 이 세가지를 적절히 접목시켜서 논문을 작성했고, 굉장히 쉽게(?) 게재 승인 되었다. 도메인 지식 활용과 물리 기반 모델 위주의 연구를 수행하였었는데, 인공 지능을 활용하면 보다 산업계에서 실제로 적용할 수 있는 분야가 넓어질 것 같다. 아홉 번째 논문 리비전 도착 (23.05.03) - https://jinsustory.tistory.com/412 아홉 번째 논문 리비전 도착 (23.05.03) 1. 개..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cmYY9Q/btsibeUG2iY/DPtpuaAxkXkqtVuOnuyEW0/img.jpg)
링크드인에서 어느 조교수가 쓴 글을 가져왔다. 출처: https://www.linkedin.com/posts/faheem-ullah-75b56267_research-phd-socialmedia-activity-7054025279777746944-Jhlt/ LinkedIn Faheem Ullah 페이지: #research #phd #socialmedia #students #productivity | 댓글 114 PhD students — How to 10x your PhD productivity? 𝟏. 𝐀𝐯𝐨𝐢𝐝 𝐬𝐨𝐜𝐢𝐚𝐥 𝐦𝐞𝐝𝐢𝐚 𝐢𝐧 𝐭𝐡𝐞 𝐟𝐢𝐫𝐬𝐭 𝐡𝐚𝐥𝐟 𝐨𝐟 𝐭𝐡𝐞 𝐝𝐚𝐲: Social media is… | 댓글 114 www.linkedin.com PhD Student 학생을 위한 생산성을..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M4lWQ/btsgEhM5xVQ/uzeqhDkk2GA0yHq33ExKBK/img.jpg)
미국에서의 첫번째 연구 결과물에 대해서 투고할 준비가 완료되었다. 올해 3월에 PI와의 미팅이 잘 끝나고, 눈에 보이는 결과물 초안을 만들었었다. 열매는 언제 수확해야 하는가? (1) 링크: https://jinsustory.tistory.com/397 [연구 일기] 열매는 언제 수확해야 하는가? (1) 23.03.16 오늘은 PI와 미팅이 깔끔하게 잘 끝났던 날이다. 그리고 여태까지의 결과로 작지만 독립적인 한 가지 연구 주제에 대해 결론을 내릴 수 있었다. 새로운 주제로 연구를 시작하게 되면서, 내 jinsustory.tistory.com 그리고 4월 중순이 되어서, 새로운 토픽 한개를 숙제로 받았었고, 이 숙제를 잘 마무리짓고 피규어 2개를 추가적으로 도출하였다. 한달이나 걸렸다. 열매는 언제 수확..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bb2dkK/btsd4GUv0V6/57l7z8N1mungQYULJ4Tg6K/img.jpg)
1. 개요 논문을 게재해본 경험들을 토대로 논문을 출판하면서 느끼는 것들에 대해 적어본다. 석박사 통합과정 (5년) 이후, 박사후 연구원 1년 그리고 수개월을 지내면서 젊은 박사 학위 수여자의 관점에서 바라본 논문을 출판하면서 느끼는 점들이다. 두 가지 카테고리로 나누어보았다. 첫 번째는 '이게 중요해?' 라고 느꼈지만 실제로는 꽤나 중요하다고 느꼈던 포인트들이고, 두 번째는 반대로 나는 중요하다고 생각했지만 본질이 아니다라고 느꼈던 점들이다. 2. 논문을 출판하면서 중요하다고 느껴졌던 것들 2.1 지도 교수의 스타일과 지향점 이 당연한 사실이 미국에 오고 느껴졌다. 이유는 (1) 비교군이 생겼기 때문이고, (2) 현재 지도교수가 상당히 이상적인 지도교수의 모습이라고 생각되었기 때문이었다. 지도 교수의 ..
- Total
- Today
- Yesterday
- 공학 박사
- 라틴어 수업
- 공학 박사 일기장
- 식물일기
- Jinsustory
- 박사 후 연구원
- 해외 포닥
- LCA 분석
- 국내 포닥
- 라틴어수업
- 대학원생
- 주간리포트
- 틸란드시아
- 행잉플랜트
- 포닥 임용
- 포닥 2년차
- 논문 일기
- 한동일
- 포닥 이후 진로
- 연구 일기
- 미국 박사 후 연구원
- 박사일기
- 박사과정
- 해외포닥
- 박사 일기
- 공학박사 일기장
- 포닥 일기
- 독후감
- 미국 포닥
- 공학박사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