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 환상과 실재 사이에 다리를 놓은 사람들 ]

"나는 책을 읽을 때 등장인물에게 완전히 감정이입하곤 했다. 때로는 나 자신을 잊고 그들의 세계 속으로 빠져들 때도 있었다."

- 소설가 버지니아 울프


"고등학교 때 내 수학성적은 형편없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나는 수학을 직관적으로 '이해'하고 있었다."

- 화가 모리츠 에셔


"에술은 진실을 깨닫게 만드는 거짓말이다."

- 화가 파블로 피카소


"오늘날의 교육은 이론을 가르치면서도 이를 실제세계에 적용하는 방법은 가르치고 있지 않다. 이것은 상상력 결핍으로 이어진다."

- 교육학자 지앤 뱀버거

 



이 장에서는 나름 구체적으로 내가 어떻게 행동을 취해야 하는지에 대해 힌트를 얻을 수 있었다.

사물/현상을 보고 내가 알고 있는 지식/이론을 연결하려는 시도를 통해야 한다.

그것으로 부터 세계를 다시금 이해하는 방법을 배우는 것이 중요하다.




[1] '환상'과 '실재' 사이의 단절

이 장에서 들고 있는 예시들은 정말로 쉽게 와닿았다.

대부분 물리학과 미적분학을 포함한 수학을 예시를 바탕으로 이론과 현실 사이의 괴리를 지적하였다.

수학이 무엇을 '전달'하고자 하느냐를 배우지 못하고 그저 전달언어로서의 수학을 배울 뿐이라고 지적하였다.

이것을 내 연구에 적용하였을 때, 내가 가져야 하는 마음가짐은
 즉, "숱한 논문에서 볼 수 잇는 수학적 표현들을 어떻게 받아들여야 하는가?" 에 대하여:

 - 그것이 표현하려고 하는 시스템의 거동 원리는 무엇이가?

 - 말하고자 하는 것이 무엇인가?

를 파악하려고 노력해야 한다.


 예를 들어, 미분방정식을 보고 시스템을 상상해보려는 상상을 해보자. BC / IC / Domain 그리고 governing equation이 주어졌을 때, 그것이 어떻게 움직일까를 상상해보는 것이다.




[2] 실패한 지식인의 전형, 버지니아 울프의 아버지

이번에는 인문학을 예시로 들어 비슷한 한계를 짚어낸다.

"비평 능력"과 "창작 능력" 사이의 불일치

 - 분석적 사고라는 측면에서는 날카롭고 명징하고 군더더기가 없을 수 있지만, 

 - 실샣왈 측면에서 보면 매우 조야하고 고리타분한 사람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음악, 미술, 연극, 여행 같은 여가활도엥 대한 심각한 결핍증이 지적 편중과 좁은 시야를 가질 수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이런 부분은 우리나라의 주입식 / 암기식 교육이 한계를 지닌다는 것을 보여준다.

두뇌만 집중적으로 사용하는 것은 정신을 불구로 만들 수 있다.





[3] 이해가 아니라 외워서 알게되는 교육시스템

 

'이해'하지 못한다는 것은 실제로 그것을 '어떻게' 응용해야 할지 모른다는 것이다.

 

=> 나의 연구에도 그대로 적용해보면 확실히 맞는 말인 것 같다.

 

반대로, 내가 이해했는지 확인해보려면? 그것을 응용해보려는 시도를 해보면 된다.

 

 

 

[4] 피카소는 상상이 사실보다 진실하다고 믿었다

 

'사실'을 습득한 이후 그것의 '의미'를 상상해내야 하는 것.

 

상상력이 중요하다는 것을 인지해야 한다.

 

환상의 실재에 의해 끊임없이 단련되어야 하며, 이론은 항상 실험과 관찰에 의해 검증되어야 한다는 것.

 

=> 100% 동감하는 말이다. 항상 이론이 실험과 관찰보다 선험되어야 한다는 것이 아니다.

 

인정을 받기 위해서는 검증절차가 꼭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모델링을 하는 입장에서 늘 생각해야하는 부분이다.

 

 

 

[5] 창조를 이끄는 13가지 생각도구

 

책에서는 교육자나 독학자, 부모들이 맡아야 하는 일이라고 소개하였다.

 

즉, 환상과 실재를 재결합하는 것

 

이것은 마치 아이들이 자연을 관찰하고 보는 일련의 과정들을 순서대로 담았다는 생각이 든다.

 

가장 마지막 도구가 "통합"이라는 것에 주목하였다. 많은 경험의 방식이 결합되는 것.

 

이전까지의 12가지 생각도구가 동시에 작용하는 것이기 때문에 더 중요하다고 말하였다.

 

결국이것도 "응용"에 연장이라고 생각한다. Fully understand 상태여야만 가능한 것.

 

 

[6] 생각의 도구들을 어떻게 사용할 것인가

 

열세 가지 도구를 논하기 위한 당위성(?)에 대해 설명하였다.

개인적으로 이전까지 파트보다 이 여섯 가지 주장이 제일 재밌는 파트였던 것 같다.

 

첫째: 우리의 이론은 창조적인 사람들이 실제 사용했던 사고 방법에 크게 의존하고 있다.

 

둘째: 우리는 이러한 생각도구에 주목할 최초의 사람들이 아니다.

 

셋째: 우리는 생각도구들이 환상과 실재 사이에 다리를 놓아 통합적 이해를 가능하게 해줄 것이라고 생각한다.

 

넷째: 우리는 이 생각도구들이 지식을 습득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주장하고 싶지는 않다.

 

다섯째: 주방기구를 능숙하게 다룬다고 해서 요리법을 혁신시킬 수 있는 게 아니듯이 독창성은 쉽게 얻어지는 게 아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어떤 요리사나 '생각하는 사람'도 장비 다루는 법을 연습하지 않는다면 창조적으로 될 수 없다.

 

끝으로: 가장 중요한 쓰임새는 교육에 있다. 교육시스템이란 것은 우리들의 인지적/창조적 이해를 구현하고 있어야 한다.

 

 

 

 

이제 다음 파트부터는 본격적인 생각의 도구 하나하나에 대해 짚어보면서 서평을 써보기로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