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공학 박사 일기장] 인생 여행 이야기

프로필사진
  • 글쓰기
  • 관리
  • 태그
  • 방명록
  • RSS

[공학 박사 일기장] 인생 여행 이야기

검색하기 폼
  • All About (240)
    • 독후감 (48)
    • AI STUDY (18)
      • Matlab (8)
      • Python (8)
      • 기타 (2)
    • 1부: 대학원 생활 (31)
    • 2부: 해외 포닥 준비 과정 (15)
      • 포닥 준비 과정 (11)
      • 미국 출국 준비 (4)
    • 3부: 포닥 연구 일기 (84)
      • 미국 생활 적응기 (15)
      • 포닥 일기 (26)
      • 연구자 마음가짐 (5)
      • 논문 고찰 (6)
      • 논문 히스토리 (27)
      • 포닥 마무리 (2)
    • 4부: 임용 준비 (14)
    • 5부: 교수 일기 (13)
      • 조교수 일기 (24.09 ~) (13)
    • 전공 공부 (17)
      • LCA (전 과정 평가) (10)
      • CCUS (탄소포집 활용 및 저장) (4)
      • SP (확률적 계획법) (2)
      • TECH NEWS (1)
  • 방명록

전체 글 (240)
[포닥 마무리: 1편] 아포스티유 발급 직접 받기

포닥 마무리를 위해, 연구 외적으로도 신경 써야할 것들이 많았다. 1. 집 계약에 대해서 연장이 필요 없다는 사인을 했다 (lease office를 방문해서 서명 완료) 2. 건강 보험 & 핸드폰 매달 지불하는 요금에 대해서도 프로세스 종료 3. 쓰고있던 체크/크레딧 카드들 중 BOA는 현지에서 닫았다 (잔고를 0으로 만들고 - 직접 은행 방문) 오늘 포닥 영문 계약서에 대한 아포스티유 발급 관련 후기를 남겨본다. 1. 아포스티유에 대한 설명 링크 https://overseas.mofa.go.kr/us-atlanta-ko/brd/m_4917/view.do?seq=1159955 [중요] 아포스티유(Apostille) 미국 내 발행 문서에 대한 영사확인 안내 상세보기|공증 · 영사확인(아포스티유 안내) 미국..

3부: 포닥 연구 일기/포닥 마무리 2024. 8. 3. 04:10
열세번째 논문 1차 심사 결과 - 리비전 (24.07.28)

새 기관, 조지아텍 (이제는 이전 기관) 에서 투고한 두 번째 논문이다. 지난주에는 세 번째 논문에 대한 리비전을 받았고, 어쩌다 보니 한국으로 돌아가기전에 연속적으로 리비전을 하게되었다. 한국 돌아가기전에 잘 털고가게 되서 시원하다 ㅎㅎ 이 논문 역시 임용지원할 때 실적으로 제출하지 않은 논문이어서, 게재 승인을 받으면 재임용실적이 될 수 있다. 이번 논문은.. 내가 새로운 기관에서 여태까지 투고했던 세 편의 페이퍼 중 가장 마음에 드는 페이퍼이다! 첫 번째 논문은: 새로운 시스템 + 기존의 방법론이었고, 세 번째 논문은: 익숙한 시스템 + 기존의 방법론이었다면, 두 분째 논문은: 첫 번째 논문의 새끼주제로써 새로운 시스템 + 새로운 방법론을 적용한 결과이다. 이와 관련해서 원서도 읽고 꽤나 고생하면서..

3부: 포닥 연구 일기/논문 히스토리 2024. 7. 28. 21:48
열두번째 논문 1차 심사 결과 - 리비전 (24.07.19)

새로운 기관에서 투고한 세번째 논문이다. 투고하자마자 칼 리뷰에 들어갔는데, 3주도 안 되어서 결과가 빠르게 나왔다..!경험상, 리뷰가 빨리 시작되고 빨리 끝날수록 (일반적으로 한달 이내) 결과가 좋았던 듯하다.  오히려 새로운 기관에서 투고한 두 번째 논문은 여전히 헤매는 중..! (한 번의 리젝 > 다른 저널에서 리뷰 중이다) 두 명의 리뷰어에게 코멘트가 왔고, 총 10개. 구체적인 계산 방법론 및 가정 보다는, 보다 high-level에서의 코멘트들이였다. 꽤 범용적인 코멘트들이어서 앞으로의 연구에서도 설계단계에서부터 신중하게 고려되면 더 좋을듯하다. 꽤나 둘다 호의&중립적이어서 리비전은 큰 무리가 없을 듯하다. [#1 리뷰어] - 초록에 정량적인 데이터 결과도 넣으라는 것 - 각 섹션 (abstr..

3부: 포닥 연구 일기/논문 히스토리 2024. 7. 20. 01:08
해외 학회 참석 다섯 번째 후기 (24.07.18)

우리 분야의 소규모 학회를 다녀왔다. 4박 5일, 콜로라도 주에서 열렀고 5년 주기로 "미국"에서만 열리는 학회이다.   "Foundations of Computer Aided Process Design (FOCAPD)" 미국에서 포닥 생활을 하면서 나름 활동적으로 여러 학회에도 참석하였던 것 같다. 한국으로 돌아가기전 마지막 현지 학회였는데, 몇 가지 느낀점을 적어본다.    [1] 소규모 학회• 소규모 학회여서 그런지 여러 세션이 동시 다발적으로 흘러가지 않았고, 한 호텔을 빌려서 월화수목금 5일 동안 한 장소에서만 연사들이 talk을 했다. • 호텔 안에서 아침과 점심을 주었다. 쉬는 시간에는 커피와 과일 등의 간식거리를 입에 넣으면서 주구장창 발표만 들었다. 이것이 생각보다 고된 일이라는 것을 다..

3부: 포닥 연구 일기/포닥 일기 2024. 7. 19. 12:56
[네 번째 시즌] 지거국 임용 후기 (최종편: 2024.07.02)

꽤 오랜만의 업데이트이다. 22년 박사 학위 이후, 잡 마켓에 들어간지 (벌써) 네 번째 시즌이다. 이번 시즌 지원했던 학교들의 프로세스가 모두 끝났다. 결론적으로 지거국 대학교 중 한 곳에 최종합격 통지를 받았다. 23개월간의 미국 포닥 생활 & 네 번의 임용 시즌을 겪으면서 있었던 여러 느낀점들을 정리해보았다.  1. 네 번째 시즌의 업데이트• 약 1년 반 정도 동안 수행했었던 연구 결과들에 대해 "출판된 결과물"을 소개할 수 있었다. • 정량적인 인정 기준에서는 벗어났지만, 외적인 어필 포인트를 만들었다. • 실제로 긍정적으로 작용했는지는 잘 모르겠지만, 새 기관에서 성취를 이뤄냈다는 사실이 발표를 잘 할 수 있게 해주었다. • 연구가 진행될 수록 디테일한 부분들이 추가되기 때문에, 깊이감이 추가된..

4부: 임용 준비 2024. 7. 3. 15:58
열한번째 논문 최종 게재 승인 (24.06.14)

드디어 억셉이 되었다. 간단히 몇 가지 업데이트와 히스토리를 간단히 기록해두려고 한다. :D [열한번째 논문 1차 심사 결과 - 리비전 (24.04.28)] 링크: https://jinsustory.tistory.com/500 열한번째 논문 1차 심사 결과 - 리비전 (24.04.28)[#1] 논문 히스토리 • 내가 한국에서 박사 과정 학생으로 머무르는 동안 진행했었던 연구에 대한 결과이다. 짧게나마 잠시 박사 과정 때를 회고해본다 :D • 나의 원래 박사과정 jinsustory.tistory.com[#3] 시작은 한국, 마무리는 미국• 시작은 한국에서 했지만, 마무리는 한국에서 짓지 못하였고 - 그 숙제를 미국까지 끌고 오게 되었었다.• 주 원인은 해당 연구의 방법론에 대한 피상적인 수준의 지식을 가지..

3부: 포닥 연구 일기/논문 히스토리 2024. 6. 15. 10:21
열한번째 논문 1차 심사 결과 - 리비전 (24.04.28)

[#1] 논문 히스토리 • 내가 한국에서 박사 과정 학생으로 머무르는 동안 진행했었던 연구에 대한 결과이다. 짧게나마 잠시 박사 과정 때를 회고해본다 :D • 나의 원래 박사과정 PI는 내가 박사 과정 4년차가 되던 시점 정년 은퇴 이후, 학교를 떠나셨고 (A 교수님이라고 하자), 학적상으로 나는 새로운 젊은 PI (B 교수님)밑에서 지도를 받는 학생이 되었다. • 우연한 기회로 박사과정 동안 B 교수님 학생들과 친해지면서, 공동으로 진행할 수 있는 연구를 찾을 수 있었고, 그 스노우 볼이 이렇게 커질 것이라고는 예상하지 못했다..! (예상보다 너무 오래걸렸다)나는 모델링과 시뮬레이션을 맡았고, 반대편에 박사 과정 학생은 실험과 분석을 맡아서 공동 1저자로 시작된 연구였는데, 실험 친구의 박사 과정 졸..

3부: 포닥 연구 일기/논문 히스토리 2024. 4. 29. 13:09
열번째 논문 게재 승인 (24.04.19)

오늘 아침, 교수님에게 기분 좋은 게재 승인 소식을 받을 수 있었다. # 열번째 논문 일기 (24.04.19 - 드디어 억셉: 저널명: Energy) 드디어 첫 번째 물꼬가 트였다 :D 나 - 단독 제 1저자 대학원생 (서포트) - 제2 저자 회사 엔지니어 - 제 3저자 교수님 - 교신저자 그렇게 후속 논문도 원고가 완성이 되어 투고를 마쳤다. # 열한번째 논문 (24.03.29 투고 > 현재 리뷰 진행 중) 두번째 논문은 현재 투고 이후 리뷰 중이다. 이렇게 총 네명이 팀이 되어, SCIE 논문 두편과 우리 분과 Conference 페이퍼 한개를 투고하는 성과를 냈다. # 열두번째 논문 (24.03.30 투고 > 현재 1라운드 리뷰 종료) 그 사이에 세 번째 논문의 소식이 업데이트가 되었다. 한국에서 ..

3부: 포닥 연구 일기/논문 히스토리 2024. 4. 19. 22:54
이전 1 2 3 4 5 6 ··· 30 다음
이전 다음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TAG
  • 포닥 2년차
  • 공학박사 일기장
  • 공대 조교수
  • 논문 일기
  • 라틴어 수업
  • 독후감
  • 조교수 일기
  • 박사 후 연구원
  • 공학 박사 일기장
  • 공학 박사
  • 미국 포닥
  • 주간리포트
  • 박사 일기
  • 포닥 임용
  • 포닥 일기
  • 한동일
  • 라틴어수업
  • LCA 분석
  • 국내 포닥
  • 연구 일기
  • 틸란드시아
  • 박사과정
  • 공학박사
  • 포닥 이후 진로
  • 대학원생
  • 해외 포닥
  • 미국 박사 후 연구원
  • Jinsustory
  • 박사일기
  • 해외포닥
more
«   2025/07   »
일 월 화 수 목 금 토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

Blog is powered by Tistory / Designed by Tistory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