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EpAeE/btrLgNIYVok/vNooi6rDt9YQAreXKTnRtK/img.png)
1. Introduction 박사 학위를 받기 이전보다 한 가지 마음을 더 급하게 만드는 것이 생겼다. 논문 출판 "속도"이다. 끊임없이 완성된 출판물로써 연구 결과를 증명해야 하는 것이 포닥 숙명이기에... 마음이 괜히 급해진다. 대학원생 때는 졸업이 한학기 늦춰지는 정도의 정신적 데미지였던 것 같다. 물론, 그 때도 스트레스를 굉장히 많이 받았던 기억이 있다. (ft. 불면증) 포닥 때는 PhD year가 흘러가면서 외부에서 본인에 대한 증명을 요구하고, 프레시 포닥에서 고년차가 올라갈 수록 기대 퍼포먼스와 외부 평가가 달라진다. 심지어 리서치 펀딩 제안서 및 각종 지원 자격에서 박탈당하기까지 한다! 이러한 환경 속에서 반복되는 리젝트와 끝이 보이지 않는 언더리뷰 상태는 몇달을 금방 소비하게 되고 정..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OnBXR/btrKWABn24z/QoatiDj5tCrMIB6xfKHEpk/img.png)
이번 논문은 리뷰 후 리젝을 받아서 조금 더 신경을 쓰었고, 재 투고 전에 교정을 바았다. 몇 가지 교정 코멘트를 기록해둔다. #1. The purpose of the abstract is to state the content of the paper. Background and motivation are irrelevant. (Anybody who has found your paper will know them anyway.) # 2. Define all variables and give their units (For example in the equations). I think you may include them in the Supporting Information, but the readers ma..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csc8B2/btrJ7Q669eD/zGxrSqj0II9YDI1hh3Xrd0/img.png)
일곱 번째 논문은 에디터 스크리닝 이후 언더 리뷰 후 리젝을 받았다..! 여태까지 리젝 받았던 케이스는 전부다 에디터 스크리닝을 거치지 못해서 리젝을 받았었고, 에디터 스크리닝을 통과했던 논문들은 모두 리비전 후 억셉을 받았었다. 이번 논문은 처음으로 리뷰 후 리젝트를 당한 케이스였다. 꽤 유의깊게 여러 가지 요소를 봐야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1] 심사 코멘트 - 총 두 명의 리뷰어에게 코멘트가 왔고, 각각 10개 미만의 코멘트를 날렸다. - 리젝트를 받았지만 그래도 코멘트를 받았다는 것은 큰 의미가 있다. 잘 모르는 사람이 보아도 허점이 드러날 정도라면, 이것을 크게 고쳐야 한다는 것을 뜻하기 때문이다. - 첫 번째 리뷰어 - 뼈때리는 코멘트는 없었으나, 코멘트를 읽어보니 내 연구의 의의에 대해 크게..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bPYo7L/btr8T4TpOZb/2TXwVY2kIqLVjh4qi4E2Wk/img.png)
두 번의 리비전 후에 게재승인을 받았다! 올해는 참 기분 좋은 일이 많이 일어났다. 5년 동안의 석박사 통합과정 동안의 고생의 결실이 하나씩 논문으로써 전환되고 있는 중이다. 이로써 제1저자로 작성한 여섯 번째 논문이 되었다. 1차 심사 결과 링크: https://jinsustory.tistory.com/292 여섯 번째 논문 1차 심사 결과 (22.07.11) 여섯 번째 논문에 대한 1차 심사 결과가 나왔다. 이 논문은 5월 17일에 투고하였었는데, 두달을 조금 못채우고 리비전을 받을 수 있었다. 본 연구 토픽은 대학원생 시절 진행했었 jinsustory.tistory.com 1차 리비전 후기 링크: https://jinsustory.tistory.com/297 여섯 번째 논문 첫 번째 리비전 후기 (..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GnsP9/btrIlxWNgQz/tdI5brB4pmh3lyooV3tur1/img.png)
Major revision을 받고, 열심히 수정하였는데, 하루 만에 under review 없이 decision in process로 바뀌었다. 1차 심사 결과 링크: https://jinsustory.tistory.com/292 그리고 다시 revision판정을 받았다..! 여섯 번째 논문 1차 심사 결과 (22.07.11) 여섯 번째 논문에 대한 1차 심사 결과가 나왔다. 이 논문은 5월 17일에 투고하였었는데, 두달을 조금 못채우고 리비전을 받을 수 있었다. 본 연구 토픽은 대학원생 시절 진행했었 jinsustory.tistory.com "In its current state, the level of English throughout your manuscript does not meet the jo..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kKJaW/btr8JkYnKzo/dBRG3HCulcVocwYbVVh1g1/img.png)
한번의 마이너 리비전 같은 메이저 리비전 후에 게재 승인을 받았다. :) 다섯 번째 논문의 1차 심사 결과 링크: https://jinsustory.tistory.com/290?category=899120 다섯 번째 논문 1차 심사 결과 (22.07.04) 다섯 번째 논문에 대한 1차 심사 결과가 나왔다. 6월 14일에 투고하였는데 한달도 되지 않아 리비전 요청을 받을 수 있었다. 이번 논문은 인공지능을 활용하여 내 필드의 도메인 지식 jinsustory.tistory.com 리뷰어 두 명의 추가적인 코멘트가 없이 매우 깔끔하게 끝났다. Reviewer #1: The authors have carefully addressed my comments. As such this work can be accept..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Nf3me/btr8UVoyqkS/2uaMkZadghAjAVKTKBuwX0/img.jpg)
22년 2월에 박사 학위 수여식을 진행하고 벌써 7월이 되었다. 학위를 받은지도 벌써 6개월이 지났으니 시간이 참 빠르게 흘러갔다. 학생과 박사 사이의 경계선에서 머무르며 주변에서 어색한 박사님 호칭을 들으면서 지내고 있다. 내 생활은 변함없이 여전히 아둥바둥 논문에 매달려 있는 중이다 :) 올해에 주저자 논문 세편의 리비전을 진행하였다. 한 논문은 두 번의 리비전 끝에 억셉되었고, 나머지 두 논문은 각각 첫번째 라운드 리비전을 무사히 마무리하여 재심사 중이다. 그에 대한 느낀점을 모아서 적어보려고 한다. 1. 리비전을 대하는 태도 - 리비전을 받았다는 것은 에디터의 1차 스크리닝 후 리뷰어를 찾아 심사를 받고, 에디터가 판단하기에 충분한 decision 근거가 확보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 단순하게 ..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zEsPw/btrHp1Rmh9U/DMQyU8OfthhsNp1iyaTO30/img.png)
여섯 번째 논문에 대한 1차 심사 결과가 나왔다. 이 논문은 5월 17일에 투고하였었는데, 두달을 조금 못채우고 리비전을 받을 수 있었다. 본 연구 토픽은 대학원생 시절 진행했었던 연구 결과 과제물을 포닥 때에 단독으로 진행하여 투고까지 진행했던 연구이다. 독립적으로 거의 모든 부분들을 진행했었고, 부족한 피드백은 외부의 연구/과제 발표 자리 혹은 학술대회를 통해서 채워가면서 진행했었다. 지금 생각해보니.. 이렇게 연구를 하면 저자 수를 줄일 수 있을 것 같기도 하다. 잠재적인 리뷰어들과 늘 교류하는 것도 좋은 자세인 듯하다. 각설하고.. 본 논문 심사 결과, 두 명의 리뷰어가 심사를 해주었고, 두 명 모두 다 흥미롭고 현재 동종업계에서 관심을 끌만한 토픽이라고 심사해주었다. 리비전은 10개 이내로 명확..
- Total
- Today
- Yesterday
- 주간리포트
- 박사일기
- 포닥 이후 진로
- 공학 박사 일기장
- 해외포닥
- 포닥 임용
- 식물일기
- 공학 박사
- 논문 일기
- Jinsustory
- 라틴어수업
- 포닥 2년차
- 공학박사 일기장
- 미국 포닥
- 미국 박사 후 연구원
- 공학박사
- 박사 일기
- 박사과정
- 국내 포닥
- 독후감
- 연구 일기
- 한동일
- 틸란드시아
- 포닥 일기
- LCA 분석
- 해외 포닥
- 박사 후 연구원
- 행잉플랜트
- 라틴어 수업
- 대학원생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